Spring 어노테이션 정리Spring MVC@MVC어노테이션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MVC의 확장 기능은 @MVC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어노테이션 기반 MVC)@Controller해당 클래스가 Controller Bean 임을 지정한다.@RequestMapping처리할 요청 URL을 지정한다.실제 요청 URL 은 class의 @RequestMapping값과 메서드의 @RequestMapping값의 조합으로 지정된다.@RequestMapping(value="/article/form",method="RequestMethod.GET") @RequestMapping(value="/article/write",method="RequestMethod.POST") @PathVariableURL에 {}로 들어가는 ..
프로젝트 진행 중에 SPRING 과 MSSQL 연동해서 데이터를 집어넣었는데 데이터가 깨져서 첨에는 MSSQL에서 한글설정 해줘야되는줄 알고 찾다가 DB에 쿼리로 직접 넣으니 안깨졌다... 그래서 SPRING 한글설정 빼먹은걸 알고 추가했다... 걍 web.xml 설정할때 일단 넣고 시작해야겠다... web.xml encodingFilter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encodingUTF-8encodingFilter*.do
web.xml 개발환경셋팅을 직접적으로 하기위해서는 꼭알아두어야하는 web.xml이다. web.xml에서 URL을 DispatcherServlet으로 맵핑시켜주기전에 더 중요한 설정들이 있다. 그게 바로 web.xml으로 기본적인 설정파일들을 등록시키는 거다.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appServlet ..
https://offbyone.tistory.com/88
가끔 업무보는데 정말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있는 테이블일 경우 엑셀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들이 정말 많다. 엑셀로 보면 그 수많은 데이터들이 깔끔히 정리되는느낌이랄까...?상황설정을 음... 게시판 페이지에서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시에 엑셀에 게시판 데이터들이 엑셀로 뽑혀나오는걸로 가정했을때 코드 list.jsp엑셀 다운로드 Controller@RequestMapping(value = "excel.do")public void excel(Model model, Dto dto) {// 게시물 조회model.addAttribute("list", dtoService.findAll(dto));} excel.jsp리스트 목록 성명 아이디 휴대전화번호 게시글이 없습니다.
회사에서 웹개발할때 페이지 이동시에 콘솔에 수많은 로그가 찍혔다.첨에는 이 로그가 페이지마다 Controller에서 log를 찍어서 나오겠거니라고 생각했는데 더 편한 log4j2 기능을 사용한 거였다. log4j2란? Apache에서 만든 로깅을 위한 자바 기반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 디버그용 도구로 주로 사용한다. Log4j의 약자는 Log for java 뜻으로 java 예외를 위해 설계되었다. 즉 java를 위한 로그 라이브러리... 진짜 콘솔에 로그가 찍히면 개발할때 정말 편한거같다. 사용법을 좀 보면 일단 자바기반의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pom.xml에 추가를 해줘야한다. pom.xmlorg.apache.logging.log4jlog4j-core${org.apache.logging.log4j-v..
정보처리기사 공부할때 필수로 암기했던 트랜잭션을 스프링에서 직접 처리하고 나서 다시 이해했다. 트랜잭션이란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연산들의 집합,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SQL로 DB는 상태가 변화한다. (INSERT, SELECT, UPDATE, DELETE) 예를들어서 어떠한 DB에 SQL문으로 INSERT를 끝낸뒤에 UPDATE를 연속적으로 해줘야 된다고 생각해보자.그런데 이때 UPDATE를 사용했을시에 오류가 발생하면 INSERT는 실행이 되고 UPDATE는 실행이 되지않게된다.이렇게 되면 다시 UPDATE만 따로 처리해줘야하는 일이 발생한다.이런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트랜잭션 처리를 한다. SPRING에서의 트랜잭션 설정은 크게 어노테이션..
웹페이지 에러 처리 음... 404나 500같은 웹 개발자에게 너무나도 흔한 에러가... 사용자 입장에서 봤을때는 당황스러울 수 있다.그래서 보통 프로젝트에는 전부 웹페이지 에러 처리를 해준다. 방법은 간단쓰 web.xml 에 요렇게 작성하고 400/WEB-INF/views/error/400.jsp403/WEB-INF/views/error/403.jsp404/WEB-INF/views/error/404.jsp500/WEB-INF/views/error/500.jsp 경로에 맞게가서 .jsp 에서 각각의 오류에 맞는 에러처리를 해주면된드아.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Error : 404 고객님이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입력하신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홈으로 가기 뭐 404에러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jQuery CDN
- html
- Slick
- fontawesome 4.7 cdn
- getBoundingClientRect
- Javscript
- jQuery
- defer
- js scroll
- Sliding
- JS
- fontawesome 4.7
- sliding scroll
- css
- 반응형
- FontAwesome
- JavaScript
- scrol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